백제능사 삼존불 점안식 및 개원대법회(불교신문 10/09/13)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http://okcheonam.com/img/no_profile.gif)
작성자 홍보팀
작성일 10-09-14 17:25
본문
![](/files/attach/images/166/443/010/1ed67045bb8637e76d9b5e5d6a74879c.jpg)
지난11일 백제문화단지 내에 조성된 능사 개원법회에 조계종 총무원장 자승스님 등 2000여 명의 사부대중이 참석했다.
‘세계대백제전’을 앞두고 백제 부활을 알리는 능사(陵寺)의 삼존불 점안식 및 개원법회가 지난 11일 부여 백제문화단지 내 능사에서 봉행됐다. 세계대백제전의 성공을 기원하기 위해 열린 이날 법회에는 조계종 총무원장 자승스님과 총무부장 영담스님, 마곡사 주지 원혜스님, 수덕사 주지 옹산스님, 김종민 충청남도 정무부지사, 유병기 충남도의회 의장, 김종성 충청남도 교육감, 이용우 부여군수, 이준원 공주시장을 비롯해 사부대중 2000여 명이 참석했다.
사지에서는 국보 제287호 백제금동대향로와 국보 제288호 창왕명석조사리감 등이 출토되었으며 전문가들의 고증을 거쳐 총 사업비 210억 원을 들여 7년간에 걸쳐 복원됐다.
능사는 금당과 강당, 중문, 5층목탑, 익사, 회랑 등 총 13동으로 이뤄졌으며 부여 금성산 출토 청동소탑 유물과 국내 최고 목조건축물인 봉정사 극락전, 부석사 무량수전, 수덕사 대웅전 및 중층 건물인 화암사 극락전, 화엄사 각황전 등을 참고하여 재현했다.
대표적인 건물은 5층 목탑이다. 목탑은 정면 3칸, 측면 3칸, 연면적 53㎡, 높이 37.5m의 초대형 규모로, 이중 상륜은 높이가 9m에 이른다. 국내 최초로 지어지는 백제 목탑으로 건축양식에 있어서도 난이도가 높기로 유명하고 백제만의 건축양식인 하앙식(下昻式) 공법을 적용한 국내 최초로 지어진 유일한 백제시대 목탑이다.
조계종 총무원장 자승스님은 치사에서 “1400여년 만에 백제의 양식을 그대로 재현한 가람이 이곳에 서게 된 것은 이 땅에 찬란한 문화의 꽃을 피운 백제의 부활을 알리는 신호탄”이라며 “대제국 백제 문화의 부흥과 민족의 번영을 기원하는 호국사찰로 그 면모를 새롭게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마곡사 주지 원혜스님은 봉행사에서 “우리가 능사를 개원하고 삼존불을 봉안하는 것은 1400년 전 문화선진국이었던 백제의 혼과 생명을 되살리는 대작불사”라며 “능사의 대법당에 모셔진 부처님과 보살님의 자비로 세세생생 금강을 지켜온 백제의 혼과 문화가 우리들의 후손들에게 그대로 전해질 수 있기를 지극한 마음으로 기원한다”고 말했다.
이날 법회에서는 능사 건립과 개원법회가 있기까지 공로가 있는 안희정 충청남도지사와 박국진 백제문화권관리사업소장이 조계종 총무원장 자승스님으로부터 감사패와 공로패를 각각 받았다.
또한 자비나눔 전달식도 있었다. 소외계층의 어린이들이 ‘2010 세계대백제전’에 참여할 수 있도록 마곡사 본ㆍ말사 스님들과 신도들이 정성을 모아 입장권 2010매를 충청남도교육청에 전달했다.
한편 마곡사는 오는 18일부터 9월 17일까지 열리는 2010 세계대백제전 기간 동안 능사에 스님을 상주시켜 사찰 안내 및 템플라이프를 진행한다.
이시영 충남지사장
능사 복원…찬란한 백제문화 부활 ...불교포커스 | |||||||||||||||||||||||||||
11일 삼존불 점안식·개원법회
|
- 이전글교보문고, 불교판매대 철거 (법보신문) 10.09.15
- 다음글초선의원 모임 의정비 ‘아름다운동행’ 기부(불교신문 10/09/06) 10.09.07